Day 016
오늘은 드디어 자바를 마무리했다! 사실 이것이자바다 교재를 처음부터 끝까지 쭉 나갔으면 좋겠는데 sql, database, html css등 다양한 교육과정을 따라야하는 탓에 아쉽지만 8장에서 자바를 잠시 내려놓게 되었다. 하지만 앞으로 교과과정을 진행하며 자바의 이해가 필요한 부분이 나오면 다시 자바 공부를 그때 그때 하는 것으로 커리큘럼이 진행된다고 한다. 오늘은 그렇게 8장 인터페이스를 마무리하고 간단한 자바 알고리즘 문제를 푼 뒤 네트워킹 부분으로 들어갔다. 앞서 강사님께서 언급하신대로 네트워킹 부분에서 필요한 지식을 이것이 자바다 18장을 통해 학습하게 되었다. 앞으로 배울 부분도 상당히 흥미로운데, 학부시절에 컴공으로 전과내지 복전, 부전공이라도 했으면 참 좋았겠다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흘러간 시간은 어찌할 수가 없는 것 아니겠는가! 현실을 인정하고 더욱 노력할 수 밖에 없다. 적어도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것보다는 백배 나으니 긍적으로 생각하자 ^^
디폴트 메소드가 있는 인터페이스 상속
부모 인터페이스의 디폴트 메소드를 자식 인터페이스에서 활용 방법
디폴트 메소드를 단순히 상속만 받음
디폴트 메소드를 재정의(Override)해서 실행 내용을 변경
디폴트 메소드를 추상 메소드로 재선언
----------------------------------------------------------------------------------------------------------
시리 개발팀장(한국인) ===> SKT 인공지능연구소
인터뷰 : AI 몰라도 좋다 수학 통계 몰라도 괜찮다
코딩을 잘하는 사람이 필요하다
네트워크를 들어가려면 입출력을 알아야한다!
자바 입출력을 모르면 네트워크를 할 수 없다
네트워크 기초를 먼저 배우고 자바 입출력 개념이 필요할 때
자바 입출력을 배우고 네트워크 나머지 개념을 배우도록 하자
*서버 <---> 클라이언트
모두 역할로 구분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하드웨어 이런거로 구분하는거 아님)
(1) 클라이언트
- 서비스 요청
- 요청에 대한 응답 수신
(2) 서버 (serve 하는 사람)
- 서비스 요청을 수신, 처리
- 응답을 생성, 송신
*웹
(1) 클라이언트 (웹브라우저) - 서버(웹서버,WAS,...) 모델의 대표적인 케이스 (C/S model)
(2) Torrent (클라이언트-서버 역할을 동시에 수행!) => P2P model
----------------------------------------------------------------------------------------------
1. netcat - 서버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만들어주는 툴
> nc -L -p<port>
> ctrl + c로 연결해제
2. telnet - 원격접속화면 프로그램 : Client 역할로 수행
> telnet <IP주소> <port>
telnet localhost 7777
http://127.0.0.1:7777
3. IP주소 Internet Protocol
-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PC(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에 할당된 주소
- 비유 : 서울시 송파구 장미아파트 1100동 까지의 의미! (몇호인지는 모름)
지정된 IP주소를 가진 PC까지는 도달가능하게 하는 주소!
- ipconfig로 알 수 있다 (for window) // 맥은 ifconfig-a
- xxx.xxx.xxx.xxx : 4개의 숫자와 구분자(.)로 구성 (ver4)
0<xxx<=255
4. Port(항구) 번호
- 몇호인지 호수의 의미
- ip주소는 여러개지만 포트번호는 하나
- 포트번호 80은 생략가능
5. 내 PC가 네이버의 pc에 접속되려면
(1) 네이버 PC까지 도달가능하려면 -> IP주소 필요
(2) 네이버 PC의 OS위에 특정 서버 프로그램 -> Port 번호 필요
6. DNS (Domain Name Service) 서비스에 대한 이해
- 도메인명 -> IP주소로 변환
- IP주소 -> 도메인명으로 역변환
https://www.naver.com/ <->IP주소
파워쉘
> nslookup <도메인>
도메인 입력하면 ip주소 보여줌!
> quit
7. 네트워크 방식
가. 유선 네트워크
나. 무선 네트워크
8. 지정된 IP 주소에 도달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함!
파워쉘
> ping <IP주소>
이건 Port 까지 확인 안 됨
9. 지정된 IP주소와 Port 번호까지 두개를 동시에 확인하는 방법
파워쉘
> telnet <IP주소> <Port>
ctrl + ] -> quit 으로 연결해제
10. 인터넷
- 전세계의 수많은 PC 및 장비들이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거대한 네트워크
11. WWW (World Wide Web)
- 인터넷을 기반으로, 그 위에서 제공되는 수 많은 서비스 중에 하나일 뿐!
- 특히, 정보의 제공(Web 1.0)과 상호작용(Web 2.0)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
'국비학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비지원] KH 정보교육원 18일차 (0) | 2022.04.18 |
---|---|
[국비지원] KH 정보교육원 17일차 (0) | 2022.04.15 |
[국비지원] KH 정보교육원 15일차 (0) | 2022.04.13 |
[국비지원] KH 정보교육원 14일차 (0) | 2022.04.12 |
[국비지원] KH 정보교육원 13일차 (첫 테스트!) (0) | 2022.04.09 |